경포대도(鏡浦臺圖) 총석정도(叢石亭圖) <경포대도>와 <총석정도>는 현재 전하는 강원도 명승지를 그린 가장 오래된 그림으로 특히 16세기 감상용 실경산수화 제작 양상을 알 수 있는 유일한 현존작으로 가치가 매우 높다. 두 작품은 16세기 중엽 관동(關東)지방의 빼어난 풍경을 유람하고 난 후 감상을 그린 것이다. 그림은 풍류를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 세세한 묘사까지 매우 흥미로우며 전체적인 표현 방법에서 16세기 화풍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현장의 특징에 맞게 화면 구성과 경관 표현을 창의적으로 변화시킨 것을 볼 수 있다. <경포대도>는 아래쪽에 위치한 ‘죽도(竹島)’, ‘강문교(江門橋)’로 시작하여 경포호를 넘어 위쪽에 위치한 경포대와 오대산 일대를 올려보는 구도이다. <총석정도>는 그림 상부에 발문(跋文)이 있어 이 작품이 제작된 내력을 알 수 있다. 그림의 발문에는 덕원(德遠) 홍연(洪淵)이란 인물이 등장한다. 아직 신원을 밝히지 못한 상산일로(商山逸老), 아호(雅號)가 쓴 글에 따르면, 1557년 봄에 홍연(洪淵)과 함께 금강산(풍악산)과 관동 지역을 유람하고 유산록(遊山錄)을 작성하였으며 시간이 흐른 뒤 그중 몇몇 명승지를 그려 병풍을 만들었다고 하였다. 관동팔경 중 가장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총석정은 북한지역인 강원도 통천에 위치한 명소로, 이 그림을 보면 총석정을 가지 않고도 실경을 머릿속에 그릴 수 있을 만큼 뛰어난 작품이다. <총석정도>에 적혀 있는 글 余丁巳春, 與洪君德遠, 約爲關東之遊, 遍觀楓岳 嶺東勝區, 其峯巒之峻秀, 溪壑之深邃, 雲嵐之 變態, 湖海之汪洋, 皆入於遊山錄, 時或披覽, 第以塵 緣在躬, 祿食東華, 泉石眞面目, 徒勞夢想而已. 每見 古人, 雲臥溪山, 不接世事者, 其高卓乎不可及矣. 遂繪畫 若干名勝地爲屛風, 因抄出昔年遊觀時賦詩七八絶, 書其 後, 以慰余不得更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