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특별전 '북촌, 열한 집의 오래된 기억'

조선인 건설청부업자 정세권이 출판한 『실생활』, (1931,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조선인 건설청부업자 정세권이 출판한 『실생활』, (1931,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바우 김성환 작가의 <가회동 골목>
고바우 김성환 작가의 <가회동 골목>

고바우 김성환 작가의 <가회동의 달 1>
고바우 김성환 작가의 <가회동의 달 1>

고희동의 일기회(一器會) 동인이자 당대 ‘10대가’에 손꼽히던 서화가들의 합작시권(合作詩卷), 일제강점기
고희동의 일기회(一器會) 동인이자 당대 ‘10대가’에 손꼽히던 서화가들의 합작시권(合作詩卷), 일제강점기

임인식이 초등학교에 입학한 아들 임정의에게 집에 잘 찾아 올 수 있도록 항공사진을 잘라 만들어준 명함판 약도사진(1954, 개인소장)
임인식이 초등학교에 입학한 아들 임정의에게 집에 잘 찾아 올 수 있도록 항공사진을 잘라 만들어준 명함판 약도사진(1954, 개인소장)

민영찬가가 살고 있던 창덕궁 관사 공매 처분 통지서(1956)
민영찬가가 살고 있던 창덕궁 관사 공매 처분 통지서(1956)

민영찬가의 창덕궁 관사 입주 허가 신청서(1931)
민영찬가의 창덕궁 관사 입주 허가 신청서(1931)


북촌의 학교 밀집도를 보여주는 『별건곤』(1927)의 「방학동안의 경성거리」 삽화 (고려대학교)
북촌의 학교 밀집도를 보여주는 『별건곤』(1927)의 「방학동안의 경성거리」 삽화 (고려대학교)

오봉빈 『서화미술품목록』, (1929~1940년대, 개인소장)
오봉빈 『서화미술품목록』, (1929~1940년대, 개인소장)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꽃과 나비(花蝶圖), 남계우(南啓宇, 1811-1888), 조선, 세로 121.2cm, 가로 28.2cm, 국립중앙박물관

 꽃과 나비(花蝶圖), 남계우(南啓宇, 1811-1888), 조선, 세로 121.2cm, 가로 28.2cm, 국립중앙박물관 관련정보 MEDIA N | 국립중앙박물관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 下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인곡유거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은암동록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장안연우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양천현아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개화사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이병연(李秉淵, 1671~1751)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시화환상간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이병연(李秉淵, 1671~1751)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홍관미주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장안연월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행주일도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창명낭박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사문탈사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이병연(李秉淵, 1671~1751)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척재제시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이병연(李秉淵, 1671~1751)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어초문답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고산상매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이병연(李秉淵, 1671~1751 )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경교명승

산수도 4폭 병풍(山水圖四幅屛風), 중국, 높이 187.5cm, 너비 299cm

산수도(山水圖) 4폭 병풍과 사군자(四君子) 4폭으로 구성된 양면 병풍. 앞면에는 호수, 산, 배, 나무, 정자 등이 있는 풍경이 그려짐. 뒷면에는 각 폭마다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가 그려지고, 건곤청기(乾坤淸氣) 등의 화제가 묵서됨. 관련정보 MEDIA N | 국립민속박물관